본문 바로가기

기타

상장지수펀드 투자가이드 종류, Kodex 레버리지 수수료 세금

상장지수펀드 투자가이드
1. 상장지수펀드(ETF)란?
주가지수 움직임에 연동되며 수익률이 변동하는 지수연동형 펀드로서 거래소에서 주식처럼 매매가 가능한 금융상품을 말한다.

2. 일반펀드와의 차이점



3. 장점
◈다른 펀드들에 비해 거래비용이 저렴하다
공시가 명확하므로 일반 펀드에 비교해 투명하다. 
유동적인 지수에 연동되는 상품이기에 탄력적인 투자판단이 가능하다
주식처럼 매매할 수 있어 언제든 현금으로 전환할 수 있으므로 환금성이 뛰어나다.
소액으로 매수해도 우수한 종목들에 분산투자하는것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

4. 단점
매일매일 가격의 변동성이 크므로 장기투자상품으론 부적합하다.
원금손실위험이 있고 인기없는 ETF의 경우 거래가 없으므로 유사시에 팔기가 어려워져 현금 유동성에 위험을 초래할 가능성이 있다.
주식처럼 매매하므로 잦은 매매시 그만큼 수수료비용이 증가한다
일반펀드는 펀드전문가가 운용하는데 반해 ETF는 투자자가 스스로 투자판단과 결정을 해야하므로 리스크를 온전히 자신이 져야한다.

5. 가입방법
증권사 지점을 방문해 계좌를 개설하고 보통 주식처럼 HTS, 스마트폰, ARS등을 이용해 거래하면 된다.

6. 투자방법
◈거래량이 많은 상품에 투자
원자재형은 변동성이 크므로 심사숙고가 필요
섹터형은 조급해하지말고 장기적인 안목으로 투자
될수있으면 매수는 종가에 하는것이 좋다
수수료가 상대적으로 저렴한 온라인증권사가 유리
뇌동매매를 자제하고 전문가의 도움을 구하며 투자하는것이 좋다
<재테크 무료상담>▶▶[바로 가기]


ETF 상장지수펀드 종류
1. 지수형 ETF
코스피200등과 같은 지수를 추종하는 형태
2. 섹터형
자동차, 전자, 조선, 반도체, 은행등 특정한 업종에 투자하는 형태로 지수형보단 변동이 심하지만 개별주식에 투자하는것보다는 위험을 분산시키는 효과가 있다.
3. 레버리지형
주가지수 하루 변동율의 2배를 따르는 ETF로 상승분의 2배수익을 달성할 수 있으나 하락시에도 하락분의 2배만큼의 손실을 볼 수 있다. 대표적인 상품으로는 kodex 레버리지가 있다.
4. 인버스형
코스피200의 하루변동율을 역으로 추종하는 형태로 코스피가 상승시 상승분만큼 손실을 보고 코스피가 하락하면 역으로 하락분만큼 수익을 거둘 수 있는 형태이다.
5. 해외형
미국, 중국, 일본등 다른 나라의 대표적인 지수를 추종하는 펀드
6. 채권형 
국고채, 통화안정채, 
7. 원자재형
금, 원유, 농산물, 철광석등의 원자재의 변동성에 따라 수익을 볼 수 있는 형태.

Kodex 레버리지 수수료 세금
코스피200지수에 연동되는 kodex 레버리지의 수수료는 현재 0.64%이다. 시세가 변하지 않는것을 가정하고 100만원을 1년 투자하게되면 수수료는 6400원이란 얘기이다. 하지만 시세는 계속해서 변하므로 실제 내야하는 수수료는 변동순자산×연 수수료율이 된다. 세금의 경우 주식하고는 다르게 매도시에 거래세는 없지만 매매차익에 대해서는 15.4%의 배당소득세가 부과된다.